내 전공을 쓰라고 하면 대게는 Arithmetic Theory of Quadratic Forms and Lattices 라고 적고는 되뇌인다.

"Arithmetic 도 잘 못하는 주제에 Analytic theory 는 넘보지도 말아야지"

자꾸만 피해 가려고만 하는 것.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생각이고 어찌 보면 게으른 생각이고 이것이 맞다 그르다를 논하는 것은 논하는 자체가 약간 우스운 일이고. 능력에 비해 너무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다간 공부할 때는 재밌겠지만 평생을 낭비할 수 도 있기 때문에. 하여간 지금 하고 싶은 이야기는 마음을 고쳐먹고 analytic theory 도 살짝 넘볼까 하고 마음을 먹고 있다는 거다. 사실은 이제까지 하고있는 연구 영역을 살짝 넘어서야 할 것 같은 이유가 하나 둘 생기면서부터 동기부여가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래서 이것 저것 뒤지다 modular form을 arithmatic 한 관점에서 보려고 노력 중인데, 그것에 적당한 reference를 찾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modular form이 활용 범위가 넓은 주제임에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연구는 많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을 다시 해석하면, 한편으로는 할 것이 많아 다행이지만 한편으로는 뭘 할지 잘 모른다는 것. 그동안 피해다녔던 이유가 될 지 모르겠지만, 이 방면으로의 연구 중에 특별한 quadratic form 의 representation을 공부하기 위한 논문이었던 것이 있는데 - 좀 용감하게 이야기 하자면 이 영역으로는 거의 유일무일 했던 것이기도하다 - Invent. Math. 에 실리기도 했었으니 연구가 없었던 것이 그 연구 방향을 다들 잘 살피지 못해 어려운 문제로 생각되었던 것이리라.  내가 피해다니고 싶어할 이유가 하나 쯤이 있었던 셈. 

Ono, Ken; Soundararajan, K.
Ramanujan's ternary quadratic form. Invent. Math. 130 (1997), no. 3, 415--454.
(Reviewer: Rainer Schulze-Pillot) 11E45 (11E20 11F37 11F67)

그래서 조금은 옛날 책이긴 하지만 찾아낸 것이 저 책.

Lectures on Siegel modular forms and representation by quadratic forms by Kitaoka, Y.
Tata Institute of Fundamental Research Lectures on Mathematics and Physics, 77.
Published for the Tata Institute of Fundamental Research, Bombay; by Springer-Verlag, Berlin, 1986.

이 책을 집어들 때 드는 생각은 Kitaoka는 나름 Quadratic forms에 관한 연구 업적도 있고, 책도 여러 권 쓰셨기도 했고 책 제목 자체도 관심 분야와 맞아 졌기도 했고. 일단은 내 전공 분야에서 공부를 하셨던 분이니 언어만이라도 익숙할까 싶기도 하고.

현재 앞부분에서 헤메고 있는 중에 드는 느낌으로는 내가 원하는 답을 줄 수 있을 지 의구심만 생기는 중.
무엇보다 치명적일지도 모르는 typo들이 너무 많다는 것.
Tex으로 쓰여지지 않고 그냥 타이핑 되어있어 난독증 환자에겐 절대 권해줄 수 없는 책.

그래도 그래도... 또 공부하는 중.
혹시나 하는 생각에.... 다 읽으면 혹은 원하는 결과를 얻으면 한번 더 포스팅 하겠음.

덧말. 도움 환영, 참고문헌 환영, 조언 환영


Posted by thanggle
,
배철수 아저씨 방송 듣다가 완전 꽂힌 노래.
아무 이유없이 금요일이 싫다는 둥둥, 투덜대다가 이 노래를 듣자마자 쏙 들어갔다.
완전 단순한 나다. 단순한 이유로 이 노래 정말 좋다. 유한 반복중....

배철수 아저씨 방송을 듣다보니 Guns N' Roses 신보 소식을 전해주신다.
얼마만에... 10년 15년 만인가? 가물가물... 반갑다. 아마 이것도 앨범을 구하면 유한 반복하겠지.
지금은  Jason Mraz ft. Colbie Caillat 의 Lucky 가 정말로 좋다. 
대체 이런 앨범은 어디있었던거야? 





Lucky / Jason Mraz ft. Colbie Caillat

(Jason)
Do you hear me,
I’m talking to you
Across the water across the deep blue ocean
Under the open sky, oh my, baby I’m trying

(Colbie)
Boy I hear you in my dreams
I feel your whisper across the sea
I keep you with me in my heart
You make it easier when life gets hard

(Both)
I’m lucky I’m in love with my best friend
Lucky to have been where I have been
Lucky to be coming home again
Ooohh, ooooh, oooh, oooh,
Oooh ooh ooh ooh

(Both)
They don’t know how long it takes
Waiting for a love like this
Every time we say goodbye
I wish we had one more kiss
I’ll wait for you I promise you, I will

(Both)
I’m lucky I’m in love with my best friend
Lucky to have been where I have been
Lucky to be coming home again
Lucky we’re in love every way
Lucky to have stayed where we have stayed
Lucky to be coming home someday

(Jason)
And so I’m sailing through the sea
To an island where we’ll meet
You’ll hear the music fill the air
I’ll put a flower in your hair

(Colbie)
Though the breezes through trees
Move so pretty you’re all I see
As the world keeps spinning round
You hold me right here right now

(Both)
I’m lucky I’m in love with my best friend
Lucky to have been where I have been
Lucky to be coming home again
I’m lucky we’re in love every way
Lucky to have stayed where we have stayed
Lucky to be coming home someday

Ooohh, ooooh, oooh, oooh,
Oooh, ooh, ooh, ooh
Ooooh, ooooh, oooh, oooh,
Oooh, ooh, ooh, ooh.



 

Posted by thanggle
,

금요일이 싫어요.
10대 여고생 같은 유치한 생각이지만 그냥 그렇다고요.

'Thanggle's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ptop  (0) 2009.01.18
오늘  (0) 2008.12.19
panda  (0) 2008.11.26
잠과의 실랑이  (0) 2008.11.24
Posted by thanggle
,

panda

Thanggle's Diary 2008. 11. 26. 14:05

오늘 아침 오피스메이트가 나를 보자마자 하는 말...

"You look so tired, like a panda, there are dark circles aroud your eyes."

정말 그런가? 별로 안 그래 보이는데...
요 며칠 잠자는 시간을 잘 못 맞춰서 그런가 싶기도 하다.
할 일은 동시다발로 생기고, 허둥지둥 우왕자왕, 생활 리듬은 깨져있고 그러니....

그런데 갑자기 드는 생각 영어에서도 눈 밑의 다크서클을 판다같다고 말하나?
내 오피스메이트는 홍콩사람.

'Thanggle's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0) 2008.12.19
금요일이 싫어요  (0) 2008.11.28
잠과의 실랑이  (0) 2008.11.24
첫눈  (0) 2008.11.20
Posted by thanggle
,
When you write your paper, you should talk about the following;

    • originality
    • non-triviality
    • importance
    • credit

오늘 논문을 고쳐 쓰다가 생각이 다시 났다. 염두에 두면서 논문을 다시 고치고 있다.

'Mathematician >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 12월 18일 미디어 다음 - 오늘의 인물  (0) 2008.12.19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0) 2008.12.18
선생님 이름이 뭡니까?  (0) 2008.11.13
준비하는 삶  (2) 2008.10.30
Posted by thanggle
,
잠을 자느냐 마느냐, 정확히는 제 때에 자느냐 마느냐와 실랑이 중이다. 물론 언제 잠을 자건 말건, 몇 시간을 자건 말건 그거야 내 자유이고, 지금 내 상황에선 하등 문제가 될 것은 없지만 비교적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내 몸이 버텨내는 것을 알기 때문에 실랑이 중이다. 몸이 버텨내야 내 일의 효율도 오르기 때문에.

제법 오랬동안 2시-3시 사이에 취침에서 8시쯤 일어나는 생활을 반복했는데 이게 한번 깨지니까 참 제자리도 안 돌아온다. 아마도 불규칙한 생활을 하게 된 원인이 센다이 학회를 다녀오느라 약간 리듬이 깨졌던 것이 큰 원인이리라. 어제는 꼬박 밤을 새우니 아침에서야 잠을 청할 수 있었다. 문제는 오전부터 집 앞에서 (왜 멀쩡한 곳을 깨고 부수고 다시 복구를 하는지 알 수 없어 더 화가 나는) 도로 공사를 하는지 굉장한 소음 덕분에 잠을 최소한의 수면 시간마저 뺏겨 버렸다. 그렇게 하루 종일 일은 안되고, 잠은 오고, 그래서 딴 짓도 안되는 짜증나는 상황에서 하루를 버텼다.

저녁에 잠시 성당에 다녀와서는 또 말똥말똥한 정신이 되어...어익후야... 또  이 시간까지 말똥말똥 정신이 말짱하다. 잠님이 안 와 주시려는지... 이러다간 내일 낯에는 약병아리처럼 고개만 까닥이지 싶다. 사회 생활이고 뭐고 그냥 생활 시간을 바꿀까 싶기도 하다. 저녁에 연구소 출근. 아침에 퇴근... 뭐 불가능하진 않지만... 망설여진다.

'Thanggle's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요일이 싫어요  (0) 2008.11.28
panda  (0) 2008.11.26
첫눈  (0) 2008.11.20
just a little bit  (0) 2008.11.19
Posted by thanggle
,